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3개월 만에 5천 퍼센트 넘게 상승한 메디블록 코인과 시세, 그리고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꼭 함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메디블록 로고
메디블록 로고

 

메디블록이란

1. 메디블록은 환자 중심의 신뢰할 수 있는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정부 플랫폼입니다

 

2. 메디블록 의 시가총액은 5월 18일 기준 약 2천6백억 원입니다. 또 메디블록의 총공급량은 80 억 개 이상이며 현재 유통 중인 수량은 27 억 개입니다. 메디 블록은 이은솔 씨와 고우균 씨가 함께 창업하여 설립했습니다. 이 둘은 서울과학고 동문입니다. 이은솔 씨와 고우균 씨 모두 프로그래밍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이은솔 씨는 부모님이 의대 진학 권유로 한양대 의대로 입학합니다. 반면, 고우균 씨는 카이스트 전산학과에 입학하였고, 이후 콜롬비아 대학에서 컴퓨터공학 석사까지 수료하였습니다. 그러나 이후, 프로그래밍에 인생을 바친 사람들과 경쟁을 하고 싶지 않아, 경희대 치의학과에 진학하였습니다. 그곳에서 병원의 IT시스템이 기술적으로 뒤쳐진 것을 알게 되고, 이은솔 씨와 함께 메디블록을 창립하게 됩니다. 메디블록은 현재 다양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지만(업비트, 코빗, 비트렉스 등), 대부분의 거래가 업비트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메디블록 직원들
메디블록 직원들

 

▼ 메디블록 시가총액 확인하기 ▼

 

3. 메디블록의 핵심기술은 아래와 같이 3가지가 있습니다.

- 메디패스

메디 패스는 블록체인 기반의 보험 간편 청구 플랫폼으로, 서류 없이 보험 청구를 하며 의료정보에 대한 주체적인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 닥터 팔레트

닥터(의사)와 팔레트를 합친 합성어로, 의사가 자신의 병원에 맞는 기능을 고르고 추가하며 사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로써 의사가 환자를 진료할 때 더욱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 패너 시어

 

 

패너 시어는 '만병통치약'이라는 뜻으로, 전 세계 환자들이 본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주권을 가질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이로써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의료정보의 신뢰성을 높입니다.

 

메디블록의 상승 원인

메디블록은 지난 3개월 동안 업비트 기준 5000% 이상 상승했는데요.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를 꼽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메디패스 2.0 입니다. 메디블록은 작년 11월 달 간편보험청구 앱인 메디패스 2.0을 출시했습니다. 전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바꾸며, 사용자들의 기대감을 증폭시켰습니다.

 

메디패스 인터페이스
메디패스 인터페이스

 

두 번째로 협력사 확대입니다. 메디패스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 서울대병원에 비롯하여 여러 대형병원으로 추가 확대가 되었습니다. 또한, KB손해보험, 현대해상 등 보험사와도 협력하며 사용자들이 실질적으로 보험청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메디블록 협력사메디블록 협력사
메디블록 협력사

 

세 번째로 백신패스 입니다. 지난 3월 18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코로나 19 백신 전자 예방접종증명서 서비스인 백신 패스를 출시하였습니다. 이로써 코로나 19 백신뿐만 아니라, 질병관리청과 연동 의료기관에 등록된 이력을 사용자가 쉽게 관리/확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백신패스가 코인 시장에서 가치가 높게 인정받으면서, 메디블록의 매수세는 엄청났습니다.

 

메디블록 백신패스
메디블록 백신패스

 

▼ 그레이스케일 투자 포트폴리오 ▼

 

메디블록의 전망

메디블록은 최근 1-2달 사이 급락했습니다. 원인을 살펴보면,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접종 기록은 민감 자료로 민간사업자에 공개가 불가능하다는 질병청의 주장에 따라, 메디블록의 메디패스 데이터에서 코로나 19 접종내역이 빠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가상화폐 시장에 연이은 악재가 덮치면서 비트코인과 함께 모든 가상화폐들도 하락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봤을 때 다시 반등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4월 이후, 암호화폐 시장에 상승세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이는 어찌 보면 당연한 흐름이라 볼 수도 있겠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끊임없이 상승을 지속했고, 현재는 어느 정도 조정시점이라 생각합니다. 뿐만 아니라, 인플레이션과 함께 테이퍼링에 대한 압박으로 투자심리가 축소되면서, 투자시장에 대한 수급세가 약해진 것도 그 원인이라 생각합니다. 

전 고점을 다시 넘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지만, 현재 가격대에서는 충분히 매수할만한 가치가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메디블록 제공서비스
메디블록 제공서비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